저는 몇 년 전, 갑작스러운 실직 이후 경제적으로 매우 힘든 상황에 처한 적이 있었습니다. 당시 기초생활수급제도 덕분에 적절한 지원을 받을 수 있었는데요, 그 경험을 기반으로 2025년 최신 기준, 수급 조건, 그리고 실제 1인 수급액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기초생활수급자란?
최저생활 보장을 위한 국가 제도로, 소득·재산 기준에 미달하는 가구에게 생계비, 의료비, 주거비, 교육비 등을 지원합니다.
2025년 기준중위소득 (월 기준)
- 1인 가구: 2,392,013원
- 4인 가구: 6,097,773원
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인상되고 있으며, 2025년에는 전년 대비 6.42% 증가해 실질적 지원 문턱이 낮아졌습니다
수급자 선정 기준 (급여별 기준 중위소득 비율)
| 급여 종류 | 중위소득 기준 비율 |
| 의료급여 | 40% 이하 |
| 주거급여 | 48% 이하 |
| 교육급여 | 50% 이하 |
| 생계급여 | 32% 이하 |
예: 1인 가구 생계급여 선정 기준은 월 765,444원 이하입니다
실제 수급액 계산
생계급여 수급액 = 기준소득(765,444원) – 소득인정액
예시:
- 제 경험: 혼자 살며 매달 소득이 거의 없었던 때, 기준소득 전액인 765,444원을 수급받았습니다.
2025년 달라진 제도 개선 사항
1. 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
- 기존: 1,600cc 미만 & 200만 원 이하만 인정
- 변경: 2,000cc 미만 & 500만 원 이하 차량도 4.17% 환산율 적용
2.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 기존: 소득 1억 원, 재산 9억 원 초과 시 수급 제외
- 변경: 각각 1.3억 원 / 12억 원 초과 시만 제외
3. 노인 근로소득 공제 확대
- 기존: 75세 이상 대상 → 변경: 65세 이상으로 확대 (20만 원 + 30% 공제)
부양의무자 기준 (의료급여에만 해당)
부양의무자가 있더라도 소득·재산이 일정 이하일 경우 수급 가능:
- 부양능력 없음 또는 미약 시 수급 대상 인정
수급자 신청 방법 요약
- 방문: 주민센터
- 필요 서류: 가족관계증명서, 소득/재산 증명 등
처리 기간은 약 30일 내외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소득이 조금 있는데도 수급 가능할까요?
예. 소득이 기준 이하이면 수급 가능합니다. (예: 1인 가구 소득 20만원 → 약 565,444원 수급)
Q2. 제가 실제로 받는 금액은 얼마인가요?
직접 경험한 1인 기준 수급액은 765,444원 전액이었습니다.
Q3. 자동차 가지고 있어도 수급 가능한가요?
네, 2025년부터는 기준이 완화되어 소형 차량도 수급 가능합니다.

0 댓글
질문은 환영! 욕설, 홍보성 댓글은 삭제됩니다.